by Jeremy Whitlock
2006/02/28
WebLogic Server 애플리케이션 작업의 초기에는 Eclipse를 사용하여 개발하는 과정에서 WebLogic Server에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이 거의 지원되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WebLogic Workshop 8.1에만 존재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WebLogic Server 통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기본 Eclipse IDE의 확장인 Eclipse의 WebLogic-Plugin을 작성하였고 그로부터 거의 2년 후 플러그인은 단지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다 풍부한 기능을 제공하는 툴로 변화되기에 이르렀습니다. 본 기술 자료에서는 WebLogic-Plugin과 그 기능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며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및 디버깅을 위해 WebLogic-Plugin을 설치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지난 해 한번쯤은 Eclipse IDE에 대해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Eclipse는 가장 널리 이용되는 IDE 중 하나이며 CodeShare에 있어서 WebLogic-Plugin 프로젝트의 목적은 WebLogic Server에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디버깅할 수 있는 Eclipse IDE의 확장 버전을 개발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플러그인의 최종 버전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지만 2.0.0 최종 버전의 예상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재 우리는 Eclipse IDE에 배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할 수 있는 Eclipse 플러그인을 개발한다는 야심찬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 문서에서는 WebLogic-Plugin을 설치한 후 이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WebLogic Server와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며 WebLogic Server에 배포된 간단한 EJB를 디버깅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먼저 적절한 환경이 마련되어 있어야 합니다. 다음의 툴들을 설치하십시오.
Eclipse와 WebLogic Server의 설치는 본 문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이지만 WebLogic-Plugin 설치 지침은 여기에서 확인하십시오. 설치할 때 2.0 버전인지 확인하십시오. 서버를 구성하기 전에 WebLogic Servers 뷰가 표시되도록 하겠습니다.
Window > Show View > Other... > WebLogic > WebLogic Servers
이제 모든 것이 설치되었으므로 WebLogic-Plugin의 사용 방법을 살펴볼 차례입니다.
WebLogic-Plugin의 기본 개념은 간단합니다. 기존의 WebLogic 도메인에 해당하는 configurations를 생성합니다. 도메인이 준비되면 WebLogic-Plugin이 도메인의 위치, 도메인의 리소스 요구사항 그리고 도메인의 적절한 시작 방법을 인식하도록 해야 합니다. WebLogic-Plugin에서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서버를 구성해야 합니다. 그러면 WebLogic-Plugin이 작업에 필요한 수단을 제공합니다.
WebLogic-Plugin을 사용하려면 WebLogic 도메인이 이미 생성되어 있어야 합니다. 실행할 WebLogic Server 버전에 따라 각 WebLogic 도메인을 생성하는 데 다음 설명서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WebLogic Servers 뷰에서 를 클릭하면 이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여 디버깅할 WebLogic Server를 구성할 수 있는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다음은 Add WebLogic Server Instance 대화 상자의 요소에 대한 설명입니다.
General 탭은 WebLogic Server 설치 및 도메인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 정보의 상당부분이 불필요해 보일 수 있지만 WebLogic-Plugin은 서버의 시작/중단 외에도 광범위하게 이 정보를 사용합니다. 이 양식에 값을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config.xml
(포트와 SSL 포트와 같은)의 동일한 참조가 재정의됩니다.
config.xml
의 값으로 재정의됨)
config.xml
의 값으로 재정의됨)
Classpath 탭은 제대로 실행 또는 디버깅하도록 구성을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됩니다. weblogic.jar
와 webservices.jar
가 이미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2.0 최종 버전 이전에 지원될 것입니다.) 프로젝트에서 JAR이 classpath에 존재해야 하거나 Xerces처럼 .jar를 추가하여 WebLogic에서 제공된 값을 재정의해야 할 경우에 Classpath 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는 디버깅 작업에도 Classpath 탭을 사용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할 때 디버깅하고 있는 Eclipse 프로젝트가 classpath에 존재해야 합니다. 지금은 이것을 수정할 필요가 없지만 추후에 디버깅할 때는 수정해야 합니다.
Runtime 탭은 VM과 프로그램 인수를 비롯해 WebLogic Server 구성의 런타임 부분을 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디버깅을 시작할 때 더욱 자세히 다루기로 하고 여기서는 다음과 같은 입력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도메인 구성 마법사를 사용했으며 이를 위해 도메인 서버 이름과 도메인 이름만 변경했습니다.
그림 1은 그 결과로 나타난 구성을 보여줍니다.
그림 1. 적절히 구성된 Add Server 대화 상자
이제 서버를 구성했으므로 아무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봅니다. 구성된 WebLogic 인스턴스를 시작하려면 WebLogic Servers 뷰에서 새 서버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합니다. 그러면 상황에 맞는 메뉴가 나타납니다. Start 메뉴 항목을 선택하여 서버를 시작합니다.
그림 2는 Weblogic Server가 성공적으로 시작했음을 보여줍니다.
|
모든 것이 제대로 되었다고 가정하고 실행 중인 WebLogic 인스턴스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한 다음 Stop 메뉴 옵션을 클릭하여 서버를 중단한 후에 애플리케이션 디버깅 작업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Classpath 또는 Runtime 탭에서 어떠한 구성도 하지 않았음을 기억해 두십시오!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할 준비가 되었을 때 이것을 하기만 하면 됩니다. 이 작업에 대해서는 본 문서 말미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간단히 말해 디버깅할 애플리케이션은 Hello World EJB입니다. 이 예제의 소스는 zip으로 압축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배포 가능한 JAR를 빌드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설정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지금부터 설정 프로시저를 설명하겠습니다. 현재 zip으로 압축된 프로젝트를 Eclipse로 가져왔다고 가정합니다
WEBLOGIC_HOME/server/lib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weblogic.jar
와 webservices.jar
를 추가합니다.
WEBLOGIC User Library를 생성하는 이유는 이 EJB의 경우에는 컴파일할 WEBLOGIC User Library에 WebLogic JAR가 존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프로젝트에서도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User Libraries를 생성해 두는 것이 훨씬 쉽습니다.
PROJECT_HOME/src/com/jwhitlock/HelloWorldClient.java
를 수정합니다.
PROJECT_HOME/build.xml
을 수정합니다.모든 것이 제대로 구성되었을 경우 PROJECT_HOME/build.xml
에서 Ant를 실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Eclipse에서 build.xml을 열고 Outline 뷰에서 다음을 수행합니다.
Right-Click "distribute[default]" > Run As > 2 Ant Build
빌드 오류가 발생하면 Console 뷰에서 오류를 확인하여 해결한 다음 다시 시도할 수 있습니다.
이제 WebLogic Server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도 빌드할 수 있지만 WebLogic-Plugin의 실제 실행 방법을 살펴보기 위해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디버깅해보겠습니다.
WebLogic-Plugin을 통해 실행 중인 WebLogic Server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해서는 서버를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하여 대화 상자에 내용을 입력하기만 하면 됩니다. 이 대화 상자는 기본적으로 archived 형식이든 exploded 형식이든 간에 배포 형식과 배포 경로를 설명합니다. 이로서 현재까지의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 예제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PROJECT_HOME/build.xml
에서 Ant를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합니다.
PROJECT_HOME/dist/helloworld.jar
로 이동합니다. 이제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살펴보십시오. 배포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고 나면 콘솔에서 일반적인 디버그 정보를 제공합니다. WebLogic Servers 뷰의 배포 트리에 대한 실시간 업데이트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ebLogic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성공적으로 배포되었음을 확인하는 즉시 WebLogic Servers 뷰가 배포된 모든 것에 대해 알려줍니다. 이러한 방법은 단일 EJB 이상의 것을 포함하고 있는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그림 3은 EJB가 성공적으로 배포되었을 때 Weblogic Servers 뷰가 어떻게 업데이트되는지를 보여줍니다.
|
이제 플러그인 사용 방법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살펴보았으므로 디버깅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음과 같은 요구 사항이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번들로 제공되는 Eclipse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Number 1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Number 2는 앞서 General 탭에서 값을 생성했기 때문에 우리가 해결해야 할 첫 번째 문제에 해당합니다.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이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해봅시다.
classpath가 설정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할 수 있도록 Run Mode를 업데이트합니다.
여기까지 완료되었다면 거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남은 것은 시작부터 끝까지 우리가 살펴본 모든 것을 수행한 다음 EJB를 호출할 클라이언트를 실행하고 디버깅하는 것입니다. 마지막 단계를 시작해봅시다.
com.jwhitlock.ejb.HelloBean
의 56번째 줄에 중단점을 설정합니다(편집기의 왼쪽 트리를 더블 클릭합니다).
com.jwhitlock.HelloWorldClient
을 실행합니다(com.jwhitlock.HelloWorldClient > Run As > Java Application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합니다). Eclipse는 중단점에 도달했음을 알리거나 자동으로 Debug 화면으로 전환합니다.
그림 4는 Eclipse 디버거가 중단점을 설정한 줄에서 실행을 중단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지금까지 WebLogic-Plugin을 활용하여 WebLogic Server의 애플리케이션 배포를 관리하고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본 기술 자료의 예제가 간단하기는 하지만 WebLogic Server를 관리하고 배포 형식에 관계없이 배포된 애플리케이션을 디버깅하는 데 필요한 모든 과정을 다뤘습니다.
여기서 다룬 내용이 Eclipse 환경에서 WebLogic의 사용을 수월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WebLogic-Plugin과 관련하여 향후에 제공될 기능, 프로젝트 로드맵 또는 기타 사항에 대해서는 저자에게 직접 문의하거나 WebLogic-Plugin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Jeremy Whitlock은 ADP의 전문 프로그래머로, 지속적인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6년 이상 Java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고 있으며 3년간 Weblogic을 사용하면서 Eclipse 플러그인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EJB 3 Persistence 소개: 본 프레젠테이션에서는 EJB 3 spec의 멤버이며 Bitter EJB 의 저자인 Patrick Linskey가 EJB 3 persistence 사양에 대해 소개합니다. Patrick은 EJB 3 persistence 사양을 규정하게 된 배경과 이 사양을 통해 EJB의 간소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Norm Follett - HP OpenView 및 관리 용이성: 본 기술 대담에서 HP OpenView의 기술 책임자인 Norm Follett은 HP의 OpenView에 대해 소개하고 관리 기능이 어떤 방식으로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보다 강력한 아키텍처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AquaLogic User Interaction SOA Brownbag: 검색 기능 확장: 본 세션을 통해 AquaLogic Interaction Search가 어떻게 사용자 정의되고 비즈니스 요구에 부합하도록 확장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SSISO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