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소당
J2SE : (=JDK=Java2 최근 이를말함, Java 2 platform Standard Edition)
표준자바는 브라우저나 유닉스와 같은 범용 컴퓨터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JDK1.3에서는 예전부터 기대를 받았던
HotSpot라는 신형자바 VM을 탑재해서 속도가 향상되었다. 표준확장 라이브러리는 Standard Extensions라고
불리는 라이브러리 확장판으로 JNDI, Swing과 같은 라이브러리도 이 과정을 거쳤다. 자바 3D, JMF와 같이 멀티미디어
분야나 보안, 메일과 같은 부가 기능에 관한 API가 주를 이룬다. JDK베포판에는 포함되지 않으므로 따로 내려받아 설치해야
한다.
J2EE : (Java 2 Enterprise Edition) 자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최소한의 API집합을 J2SE(Java 2 Platform Standard Edition)라 한다. 그리고 이중 자바개발자들이
처음 설치하는 소프트웨어는 J2SE의 SDK(Software Development Kit)인 JDK(Java
Development Kit)이다. 이것만으로는 기업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에는 역부족이어서 썬사는 기업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API의 집합인 J2EE를 발표했다. (EJB는 분산아키텍처에 기반한 서버 컴포넌트 모델로 J2EE에 포함된 스펙일 뿐이다)
J2EE
는 서버측 프로그래밍을 원활이 할 수 있도록 각종 API를 지원하는 자바 플랫폼이다. 다양한 시스템과 연동하여 필요한 비지니스
로직을 구축 사용자에게 보여 준다. 즉 데이터베이스나 예전에 구축된 회계 금융시스템 등과의 연계도 자바2 플랫폼이 지원하는 각종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가능하다. 데이터베이스 제어를 가능하게 한 JDBC는 업계표준의 SQL문을 수행하고 각종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데이터베이스 지원 API이다. 코바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게한 Java IDL, RMI와 코바의 연동이 가능하게 한
RMI-HOP, 디렉토리 서비스를 지원하는 JNDI 라이브러리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J2ME : (Java 2 Micro Edition) 마이크로 자바는 인터넷 폰 스마트 카드와 같은 매우 넓은 영역에 걸쳐있는 소형기기 시장을 지원 하기위한 자바 플랫폼이다. 속도나 기능문제 보다는 크기와 효율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RMI : 이것은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연결해주는 프로토콜의 일종이다
자바빈즈(Enterprise JavaBeans) : 클라이언트에서 비주얼하게 다룰 수 있는 컴포넌트를 개발할 때 사용되는 모델이다.
컴포넌트 프로그래밍(Component Programing) : 프로그래밍 소스를 컴포넌트 단위로 나누어 마치 컴퓨터를 조립하듯 기능이 다른 각각의 컴포넌트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완전한 프로그램을 완성하게된다. (컴포넌트는 컴퓨터의 부속품들에 비유되어 정말 닮은 개념이다)
EJB 컨테이너 제품들 : EJB로 만들어진 서버쪽 컴포넌트들을 포함하여 보안, 트랜잭션, 패일오버 등을 보장해주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이다. (BEA사의 웹로직, IBM의 웹스피어, 오픈소스의 JBOSS등)
JDK
: (Java Development Kit, 자바개발 환경/자바개발 툴) 자바를 사용하기 위한도구이며 컴파일러이다. 인터프리터는
JVM(자바가상기계)이다. 자바 문서 편집도구로는 메모장을 많이 사용한다. 프로그램을 다운설치한다. JDK(Java
Development Kit)는 자바 컴파일러와 자바 가상 기계를 포함한다. 자바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설치해야 할 소프트웨어이다. 썬에서는 솔라리스, 윈도우즈, 리눅스 환경의 JDK를 제공하고 있다. JDK는 1.2 부터는
J2SE(Java 2 Standard Edition)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JDK1.3은 표준자바2/자바2플랫폼의 이름을
사용, Hotsopt JVM은 이전JVM 보다 발전된 컴파일러 방식으로 상당한 속도 향상되고 보다 정확하고 효육적인 가비지
콜렉터를 제공한다.
JDK도구 : 밑의 단어들은 윈도우 exe실행화일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도스콘솔모드에서 타이핑하여 실행가능한 JDK도구들이다.
1)
javac;자바번역기(자바컴파일러), javac에서 c는 compiler의 약자, 자바원시 파일(코드, 고수준언어)을 입력받아
바이트 코드파일(기계어, class파일=바이트코드=VM파일=JVM용의 기계어)로 번역하여 준다. 전체 번역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컴파일러, 하나의 순차적 번역(통역)을 행하는 프로그램을 인터프리터(java)라고 한다.
2)
java;자바해석기(자바인터프리터), 자바 바이트 코드를 해석하여 실행결과를 나타내 준다. 자바언어는 컴파일(compile)
방법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방법 모두를 사용한다. 자바프로그램은 어떤 종류의 컴퓨터에서도 인터프리터만 있으면
실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해석기가 설치된 컴퓨터를 자바가상기계(JVM=Java Virtual Machine)라 한다.
JVM(자바 가상 머신용 프로그램을 인터프리터로 바꾸고 나서 실행)
3) appletviewer;애플릿 프로그램 실행기
4) jdb;자바 디버거
5) javah;자바와 C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연결해주는 도구이다.
6) javadoc;자바 문서 생성기, 자바 소스파일에 대한 html 파일을 생성시킨다.
7)
jar;자바 압축도구, jar라는 파일형식은 JAva ARchive(아카이브)의 준말인데 자바에서 사용하는 압축파일 형식이다.
우선 그냥 zip와 같은 형식이라고 쉽게 생각하자 Winzip등의 압축유틸리티를 이용하면 풀수 있다. 플랫포옴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파일 포맷으로서 클래스 파일이나 사운드 혹은 이미지 파일 등을 단 한 개의 파일로
배포.압축함으로써 http를 이용한 다운로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출처 : http://
www.omnibuscode.com/zeroboard/zboard.php?id=seeyou_programing_java&page=7&sn1=&divpage=1
&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