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S는 XHTML 과 긴밀히 맞추어져 있습니다. CSS는 모든 XHTML의 요소들을 하나하나 한곳한곳 혹은 그룹을 불러내어 어떻게 스타일, 표현 되도록 정해줄수가 있습니다.
.yourpage { font-size: 14px; background: red; margin: 5px; }
이것을 편하게 보기 위해서
.yourpage {
font-size: 14px;
background: red;
margin: 5px;
}
자 이 규칙들은 어렵지 않으니 그냥 머리속에 담으시기 바랍니다. 6가지 입니다.
등등 보통 이값들은 CSS 처음부분에 나열하게 됩니다.
다음에 설명될 2번과 3번은 1번에서의 xhtml에서 정해진 값들에 제작자가 특별히 이름을 붙였을때의 종류들입니다. 예를들어 <div id=”header”> 는 XHTML 에서 이미 div로 정해진 이름인데 제작자가 특별히 header로 이름을 붙인것이지요. <a img src=”그림주소” class=”mypicture” />또한 mypicture라고 이름을 정한것이구요.
이렇게 id로 특별히 이름이 정해진 값은 # 로 css에서 부릅니다.
#header {
width: 300px;
height: 200px;
}
#websitetitle {
font-size: 16px;
}
이 class로 xhtml에서 정해진 것을 css에서 지명할때에는 . 마침표를 씁니다.
.diary_date {
font-size: 10px;
margin: 5px;
}
.smallfont {
font-size: 8px;
margin: 5px;
}
header 라는 div 안에 p 라는 html 에서 이미 정한 태그를 불러야 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 p를 그냥 불러서
div[align] { font-style: italic; }
2는 그냥 li 로 불러도 되지만 id=”content” 안에
속해있으니 4번규칙에 의해서 부르는게 좋습니다.
#content ul li {
list-style-type: none;
}
3또한 4번규칙을 써도 되겠죠. 하지만 그냥 1번규칙
을 써서 불러보겠습니다.
4번은 class로 불려졌으니 마침표를 써서 불러야겠죠.
3번규칙입니다.
5번은 정하지 않고 놔두게 되면 위의 3번에서
정한값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그게 싫다면
4번규칙을 써서 부릅니다.
* 이름을 정할때에는 자신이 알아볼 정도만의 이름뿐만이 아닌 평범하게 모두가 알아볼수 있을만한 이름을 정하여 선택해 쓰는것이 좋습니다.
** 브라우저의 호환성을 위해 혹은 특히 class는 여러곳에서 쓰일수 있기때문에 혼돈되지 않도록 앞에 XHTML 속성을 부른후에 제작자가 정한 이름을 붙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들어
<div id=”header”> 를 css에서 부를때에
div#header { width: 300px; } 이렇게 말이죠. 호환성과 문제들은 이곳에서 다루면서 또한 wsg 이나 CSS Design Korea 에서 더 자세히 다룰것입니다.
어렵지 않죠? CSS2는 함수나 계산등이 들어가지 않는 단순한 언어이기때문에 그렇게 어렵지는 않을것입니다.
CSS에서 XHTML에 있는 요소들을 부르는법을 알았으니 이제 부르고 나서 명령을 해주어야겠죠. 그것들을 살펴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