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ML의 개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은 그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마크업 언어중에 하나입니다.
마
크업이란 특별한 의미나 추가적인 정보를 문서의 특정 부위에 더하기 위해서 문서에 덧붙이는 표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우리가
문서의 일부 문장을 강조하기 위하여 밑줄긋기를 한다든지, 문서의 내용에 순서를 주기 위하여 문단번호를 매긴다든지, 구분과 분류
등을 통한 데이터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 테이블을 만드는 등의 작업 모두가 마크업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런
마크업을 이용해서 문서 표현을 다루는 언어가 바로 마크업 언어입니다.
우리가대표적으로 알고 있는 마크업 언어에는 HTML이 있는데, HTML은 웹의대중화를 이끌어낸 만큼 편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고정적이고 확장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또 다른 마크업 언어인 SGML은 유연성이나 확장성은 뛰어나지만, 지나치게 복잡하여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이 쉽지 않으며 관련툴의 가격 또한 비싸다는 이유로 대중화되지 못했습니다.
이 두 가지의 한계를 극복하여 등장한 것이 바로 XML입니다.
1996년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의 후원으로 형성된 XML Working Group에 의해 개발되었고, 1998년에 W3C권고에 따르는 XML 1.0 사양이 발표되었습니다.
XML은 XML문서를 만드는 개발자가 구조화된 문서를 정의하고 자유롭게 태그를 정의할 수 있다는 SGML의 장점과 인터넷 상에서 손쉽게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제공할 수 있는 HTML의 장점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XML의 확장성과 편리함은 다음과 같은 설계 목적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① XML은 인터넷상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② XML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해야 한다.
③ XML은 SGML과의 공동이용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확보해야 한다.
④ XML문서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⑤ XML에 선택적 또는 판단이 필요한 경우의 수를 절대적으로 최소화해야 한다.
⑥ XML문서는 사람이 읽기 쉽도록 표현해야 하며 논리 정연해야 한다.
⑦ XML설계는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
⑧ XML설계는 정해진 틀을 가져야 하며 정확해야 한다.
⑨ XML마크업은 간결하며 문서생성이 용이해야 한다.
XML의 특징
확장성(Extensibility)
XML
은 태그(Tag)의 정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문서의 태그에 자신이 원하는 적합한
의미를 내포하는 이름을 정의하고,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태그에 제한사항이 없어 새로운 태그세트와 속성을 정의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문서 구조(Structure)의 정의
XML
에서 사용자는 태그를 정의함에 있어 단순히 새로운 태그를 생성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각각의 태그들간의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구조적인 문서를 작성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런 비교적 투명한 구조를 가져서 보다 강력한 검색기능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유효성 검사(validity & Well-formedness constraint)
HTML
에서는 웹브라우저의 완벽하지 못한 문법 검사로 인하여 문서 상에 오류가 존재하더라도 무시되고 처리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XML은 문서 안에서 문법적인 구별이 가능해 유효성 검사와 편집상의 제어기능이 제공되어 어플리케이션이 문서를 받아들일때 문서의
오류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합니다.
자료의 저장과 표현(Presentation)의 분리
XML
문서는 내용을 가지고 있으면서, 표현에 대한 정의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는 전적으로 문서의 내용과 표현을 분리하고자 하는
의도인데, 이러한 특징은 같은 문서에 대하여 다양한 표현 방식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며, 재사용적인 측면에서도 뛰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XML의 활용분야
XML의 활용분야는 주로 전자문서를 다루는 시스템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자상거래
XML의 풍부한 정보 표현능력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들과의 조합에 의해 보다 지능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의 사이트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엔진
검색엔진으로서는 HTML이 가지고 있는 표현 태그들만 인식을 하기 때문에 의미기반의 검색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XML은 내용기반 검색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한 검색을 할 수 있습니다.
문서관리
XML
을 이용하면 하나의 웹 브라우저를 통해 모든 문서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문서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특정문서
양식이나 기안, 제안서, 보고서, 문서 전달, 전자메일 등 다양한 문서를 XML 표준 문서로 작성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고, 웹을 통하여 검색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전자도서관
대학, 연구소, 정부 산하기관, 정보센터에서 구축중인 디지털 도서관에 쉽게 응용이 가능합니다.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학술지 논문, 석/박사 학위 논문, 연구보고서 등을 텍스트 기반의 XML 표준 문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고 타 기관의 상호대차 및 원문 교환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출처] [본문스크랩] XHTML의 개요|작성자 메멘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