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ISO Community

시소당

[형태론] 형태소분석 요약


1) 형태소 견줌(비교)에 따른 형태소 식별: 형태소를 분석하려면 자료를 모아서 서로 비슷한 부분끼리 견주어 보아야 한다.
예) boyish의 견줌 대상은 ‘boy’, ‘girlish’며, 이를 통해 ‘boy’와 ‘-ish’로 분석할 수 있다.

2) 가상형태소와 모자란형태소
∙가상형태소: 형태소로서의 자격이 뚜렷하지 못한, 틀맞추기로 보면 형태소로 볼 수밖에 없는 경우
∙모자란형태소(불구형태소): 한 형태소가 하나의 다른 형태소와만 연결할 수 있거나 그 나타남의 분포가 극히 제한될 때

3) 기본형태와 변이형태
(1) 개념
: 형태소는 형태 또는 변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떼(class)이다. 대표되는 형태를 ‘기본형태’, 남은 것을 변이형태(=비기본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 형태소의 형태적 처리 명료화
※①같은 형태소의 형태 변이 과정에는 일정한 조건(음운 조건, 형태 조건)이 있다.
※② 그러나, 음운 조건이나 형태 조건에 의해서 변이 하는 것이 아니라, 추상적인 형태소(morpheme)와 변이형태(allomorph)와의 직접 관계에서 변이 형태가 변이 하는 것(alternante)이라는 관점도 있다.
(2) 기본형태 선택의 원칙
(ㄱ) 음운 조건과 형태 조건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음운 조건 > 형태조건
(ㄴ) 음운 조건에서
① 통계적으로 우세한 것
② 새 형태의 생산성(productivity)가 높은 것.
③ 형태 생산의 규칙성이 있는 것.
④ 설명의 힘(설명력) 있는 것. ⇒ 변이형태에 대한 합리적이고 간명한 설명 가능한 것.
⑤ 위의 원칙이 잘 적용 안될 때는 추상적인 기본형 곧 속형태를 설정한다.

출처 : http://www.reportg.com/search/view.php?rpID=40549

666 view

4.0 stars